'; 2025 중소기업 기술인증 정부지원사업 신청 가이드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 중소기업 기술인증 정부지원사업 신청 가이드

by 이플 큐레이터 2025. 4. 4.

섬네일
중소기업 기술인증 정부지원사업

 
중소기업의 기술인증 비용을 절감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정부지원사업이 시작되었습니다. 이 글은 2025년 국내외 인증지원사업의 신청 조건, 지원 내용, 신청 방법뿐 아니라, 기술인증 관련한 자주 묻는 질문과 실전 꿀팁까지 총망라해 정리했습니다. 정부지원사업, 중소기업지원, 기술인증, 인증지원사업에 관심 있는 분이라면 꼭 읽어보세요.
 

 


2025 중소기업 기술인증 정부지원사업 신청 가이드

📌 이 글은 이런 분들께 도움이 됩니다!

  • 정부지원사업을 정확히 이해하고 싶은 분
  • 중소기업 인증 지원사업 대상 여부를 쉽게 파악하고 싶은 기업 담당자
  • 2025 인증지원사업의 신청 방법부터 유의사항까지 한눈에 보고 싶은 분

✅ 사업 개요 및 목적

  • 사업명: 2025년 국내외 인증지원사업 2차
  • 공고일자: 2025년 3월 28일
  • 주관기관: 한국탄소산업진흥원
  • 사업목적: 5대 핵심수요산업(모빌리티, 에너지·환경, 라이프케어, 방산·우주, 건설)에서 요구하는 탄소소재 기반 제품의 국내외 인증 획득 지원 및 품질 경쟁력 확보

🧩 + 관련정보 추가!

이 사업은 단순 기술 개발이 아닌, 상용화 직전 단계에서 인증을 통해 시장 진입을 돕는 구조입니다. 기존 개발과제와는 목적이 다릅니다.

 

✅ 지원대상 및 자격

  • 지원대상: 6대 탄소소재를 활용한 제품을 개발하고 있는 법인사업자(기업)
  • 필수조건: 협약기간 내에 인증 취득이 가능한 기업, 자부담 및 회계적 기준 충족 필수

 


💬 Q. 개인사업자는 신청이 안 되나요?

네, 법인사업자만 가능합니다. 개인사업자는 본 사업에 신청할 수 없습니다.

 

💬 Q. 아직 제품이 미완성인데 인증을 준비해도 되나요?

완성 전이라도 시제품 단계에서 인증이 가능하다면 신청 가능합니다. 단, 인증 시점이 협약 기간 내에 완료돼야 합니다.

 

✅ 지원금액 및 사업기간

산업 분야 최대 지원금  최대 사업기간
모빌리티/방산·우주 연차별 최대 2.5억 최대 34개월
에너지·환경 연차별 최대 1.9억 최대 22개월
라이프케어/건설 연차별 최대 0.5억 최대 10개월
  • 정부출연금 비율: 대기업 70%, 중견·중소기업 85%
  • 민간부담금 중 현금: 대기업 30% 이상, 중소/중견기업 20% 이상

💡 TIP: 사업비 중 인건비는 반드시 현물로 계상해야 하며, 인건비를 현금으로 쓰면 부적정 사용으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 인증 지원 항목 예시

  • 항공복합재 인증(FAA, KIAST), 의료기기(FDA, MFDA, CE MDR)
  • 품질경영시스템(IATF 16949, KS Q 9100), 환경 인증(EU REACH, ISCC PLUS, GRS)
  • 기타: 비공고 인증도 신청 가능 (심의 후 적합성 인정 시 지원)

🧩 + 관련정보 추가!

의료기기나 전장부품처럼 국내 KC 인증 외에도 유럽 CE MDR, 미국 FDA 등의 해외 인증이 필요할 경우 해외 규격 대응 컨설팅 비용도 포함해서 신청 가능합니다.

✅ 신청 방법

  • 온라인 전산 시스템: IRIS 통합시스템
  • 신청 기간: 2025.3.31(월) ~ 2025.4.18(금) 18:00 마감
  • 회원가입 → 공고 검색 → 신청정보 입력 → 제출서류 업로드 → 최종 제출

📌 주의사항: 접수 마감일 18시 이후에는 제출 및 수정 불가하며, 시간 초과 시 절대 구제되지 않습니다.


✅ 제출서류 필수 목록

  1. 사업계획서 (HWP)
  2. 사업자등록증
  3. 법인등기부등본
  4. 최근 3년 재무제표 또는 회계감사보고서
  5. 국세 및 지방세 완납 증명서
  6. 4대 보험 완납증명서
  7. 책임자 재직증명서 등 총 13종

💡 TIP: 제출서류 중 회계감사보고서 또는 재무제표는 회계사 직인 필수이므로 미리 준비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 평가 절차 및 선정 기준

  • 사전검토 → 현장실사 → 발표평가 → 선정 → 협약체결
  • 평가기준: 신청요건 충족 여부, 현장기반 확인, 총괄책임자 발표평가 (70점 이상 통과)

💬 Q. 어떤 기준으로 선정되나요?

사전제출 서류 적정성, 현장검토(공장, 시설 보유 여부), 최종 발표 평가를 종합적으로 판단합니다.

💬 Q. 발표는 누가 하나요?

총괄책임자(보통 대표자 또는 기술이사)가 직접 발표를 해야 하며, 전문성 있는 응답 태도도 평가에 포함됩니다.

✅ 유의사항 꼭 체크!

  • 인건비는 현물만 인정 (현금불가)
  • 기업 부도, 체납, 중복과제, 부적정 회계 등은 지원 제외 대상
  • 국비 수령을 위한 이행보증보험증권 필수 제출
  • 과제 종료 후 5년간 성과활용 보고서 제출 의무

💡 TIP: R&D 과제를 병행하고 있다면, 이번 인증지원사업은 “기술확산과 시장확장” 목적의 보완형 과제로 활용 가능합니다.


지금 바로 2025 중소기업 기술인증 정부지원사업에 도전해보세요. 인증지원사업을 통해 기술인증, 정부지원금, 중소기업 경쟁력 확보라는 세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을 수 있습니다.